재도전하는 폰트 변경
구글 블로거를 시작하고나서 기본 폰트 변경을 여러번 시도하다가 포기했었다. 생각보다 복잡하고 어려워서 첫단추만 꿰다가 외면했는데 테마를 변경하고나니 조금 더 보기 편한 폰트로 바꿔야할 것 같았다.
구글 블로거는 한국 시장에 초점이 맞춰진 게 아니기 때문에 기본 블로거 테마 자체로 보면 묘하게 촌스러우면서 어긋난 느낌이 든다. 이 때문에 많은 분들이 더욱 손 대고 싶지 않을 수 있는데 테마 수정을 통해 입맛대로 바꿀 수 있다.
티스토리는 스킨 수정 시 편하도록 XTML과 CSS를 구분지어 두었다. 구글 블로거는 몽땅 한번에 모여있어 당혹스럽다. 그러나 티스토리 스킨도 몇 번 만져본지라 아예 생소하진 않아 다행이었다.
커스텀 테마 폰트 변경
구글에 구글 블로거 폰트 변경 또는 블로그스팟 폰트 변경을 검색했다. 대부분 기본 테마에서 변경하는 과정이어서인지 커스텀 테마를 사용하는 나는 계속해서 적용되지 않았다. 답답해서 그 해답을 뒤져보았다.
먼저 구글 폰트 사이트를 통해 원하는 폰트를 찾는다. 눈누 폰트에 비해서 한국어 적용되는 폰트가 상당히 적고 사실 마음에 드는 폰트를 찾기 어렵다. 그냥 적당히 괜찮아 보이는 폰트를 고른다.
1️⃣ 폰트 선택
구글 폰트 사이트
👇
OR
폰트를 고를 때에는 Language 영역에서 Korean을 선택하거나 Coustom에 띄어쓰기를 포함한 한국어 문장을 적어 미리보기를 해서 선택지를 추려 놓는게 좋다.
영문장만 보고 마음에 들어 선택했는데 한글이 어설픈 모양새일 수 있고 긴문장을 놓고 봤을 때 줄간격이 너무 좁아 가독성이 안 좋은 폰트일 수도 있다.
모든 걸 조합해서 최종적으로 마음에 드는 폰트를 정했다면 폰트를 클릭해서 굵기를 확인한 후에 구글 블로거에 적용하고 싶은 굵기의 폰트 오른편에 있는 + 아이콘을 클릭한다.
2️⃣ 폰트 코드 확인
✔ 각 코드 가장 끝에 /를 추가해 />로 마무리
✔ 2번째 코드 끝에 crossorigin이 있다면 그 뒤로 =crossorigin" 추가
✔ 3번째 코드 중 display 앞에 amp; 추가
이 세가지를 모두 마쳐야 문제없이 저장된다. 무언가 하나가 잘못 된다면 저장하고나서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4️⃣ CSS 추가
5️⃣ 커스텀 테마 폰트 코드 수정
이곳을 잘 들여다보면 이렇게 전체적인 폰트를 메인으로 설정해놓은 코드 부분이 있다. 이 코드 때문에 하단의 body나 post 부분을 아무리 수정해도 폰트가 변경되지 않았던 듯 하다.
테마에 기본 적용된 폰트 부분만 골라서 변경하고 싶은 폰트의 CSS코드에 적힌 font-family명으로 모두 수정하면 된다. 이후 저장을 클릭하면 폰트 변경 완료이다.
✅ 사진을 클릭해서 비교해보세요.
0 댓글